본문 바로가기

Study/BoostCourse_Web

(3)
[BoostCourse] Servlet 이란? (1/2) 학교 강의와 과제에 치여 살다 보니.. 부코 강의를 많이 못 듣게 되는 것 같아 아쉽다.. 종강하기만 하면 부스트 코스 신나게 달려야겠다. Servlet이란? 웹 어플리케이션은 정적인 콘텐츠(웹 서버)와 동적인 컨텐츠로 나눌 수 있다. 그렇다면 웹서버는 정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데, 어떻게 동적인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을까? => 서블릿이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어준다! 목차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 서블릿 작성법 httpServlet Web.xml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 (Java Web Application) 작성된 서블릿은 내부에서 설정한 runtime, 톰캣이라는 WAS를 통해 동작이 된다. 웹 브라우저는 톰캣 서버에 URL 요청을 전송하였고, 서블릿이 실행되었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로 만들어지는 것이 ..
[BoostCourse] 브라우저란? 스프링을 좀 더 재밌게 배우기위해서 시작한 부스트코스. 브라우저가 무엇인지 부터 보고 가고자한다. Browser 브라우저의 동작 서버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도착해야할 곳은 Browser이다. 브라우저에는 데이터를 해석해주는 parser와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주는 **렌더링 엔진이 포함되어있다. 브라우저의 구성 UI Browser 엔진 소스코드를 실행해서 화면에 보여준다.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를 동작시켜주는 핵심 엔진이라고 생각하자. 렌더링 엔진 화면에 위치를 잡고 픽셀 단위로 그려주며, 브라우저별로 다르다. HTML을 파싱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HTML이 가진 의미를 하나하나 파악하는 과정이다. 트리구조의 형태로 HTML을 가진다. 이를 통해 렌더 트리를 생성한다. 렌더트리의 스타일 정보(CSS)와 구조를..
[부스트코스] HTTP 프로토콜의 이해 HTTP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요청하면 서버는 브라우저에게 응답한다. 이때 지키는 통신 규약이 http이다. 헤더를 통해서 요청 헤더와 응답 헤더를 볼 수 있으며 서버는 정보를 제공하면서 응답한 정보를 헤더를 통해 알려준다. URL 한대의 컴퓨터에는 서로 다른 포트 값을 가진 소프트웨어 서버가 동작이 가능하다. 웹의 기본포트는 80번이다. URL은 인터넷 상의 자원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의미하며 특정 웹 서버의 특정파일에 접근하기위한 하나의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HTTP 통신 Request Header hostname이 꼭 필요하다. 요청하는 웹사이트의 웹서버의 주소를 적어야한다. 포트번호: 한대의 컴퓨터에는 여러개의 서버가 설치되어있을 수 있다. 포트번호에 등록된 웹서버를 의미하는 것! 가상호스트..